지하수 수질 모니터링 결과…1·2차 4곳→3차 7곳 증가
한림·명월·신도·조수·판포·협재·대포 등 기준치 초과

제주 지하수 일부에서 축산분뇨와 비료, 농약 등의 성분이 기준치 이상으로 검출돼 수자원 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제주특별자치도 보건환경연구원은 제주도내 관정 128곳을 대상으로 수질모니터링을 실시한 결과를 18일 발표했다.

이번 모니터링은 2~3월에 1차, 7~8월에 2차, 10월에 3차를 진행했으며, 질산성질소를 비롯해 음·양이온, 농약, 중금속 등 60개 항목이 조사됐다.

모니터링 결과에 따르면, 3차 조사에서 명월리(19.2㎎/ℓ), 한림리(16.7㎎/ℓ), 협재리(13.6㎎/ℓ), 판포리(11.7㎎/ℓ), 조수리(12.0㎎/ℓ), 신도리(18.8㎎/ℓ) 등 서부 6곳과 대포리(17.4㎎/ℓ) 1곳 등 총 7곳에서 기준치(10㎎/ℓ)를 초과한 질산성질소가 검출됐다.

앞서 1차 조사에서는 명월리, 신도리, 조수리, 대포리 등 4곳에서, 2차 조사에서는 명월리, 판포리, 협재리, 대포리 등 4곳에서 기준치 이상의 질산성질소가 나타났다. 2개월여만에 지하수 오염이 악화된 셈이다.

지역별 평균 농도로 살펴보면 서부지역이 4.5㎎/ℓ로 가장 높고 동부(2.7㎎/ℓ), 남부(2.0㎎/ℓ), 북부(1.2㎎/ℓ) 순으로 조사됐다.

특히 명월리에서 관측된 질산성질소는 축산분뇨의 영향이 가장 컸으며, 나머지 지역에서는 축산분뇨와 농약, 비료 등이 종합적으로 나타났다.

질산성질소에 오염된 지하수는 영유아의 청색증을 일으키거나 암 발병의 원인이 되는 등 인체에 심각한 위해를 끼치기 때문에 오염원 차단책 마련이 시급한 과제로 제시되고 있다.

보건환경연구원 관계자는 "3차 조사에서 질산성질소 농도가 높게 나타난 이유는 10월 강우량이 7~8월 강우량 보다 많아 토양의 오염물질이 지하수로 흘러가는 경우가 증가하기 때문"이라며 "지하수를 보전하기 위해 모니터링 관정과 조사시기를 확대하고 오염원 탐색후 차단책과 오염원 제거할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보건환경연구원에 따르면 이번 3차 조사에서 휘발성 물질과 법정농약 성분 등은 검출되지 않았으며, 염소이온, 기타 중금속 항목 등은 모두 수질 기준 이내의 수질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