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제73주년 광복절 경축사에서 제주해녀들을 일제의 착취에 맞선 여성독립운동가로 치하했다. 문 대통령은 "발굴하지 못하고 찾아내지 못한 독립운동의 역사가 우리를 기다리고 있다. 특히 여성의 독립운동은 더 깊숙이 묻혀 왔다"며 대표적인 여성독립운동으로 제주해녀 항일운동을 꼽았다. 아울러 제주해녀 항일운동에 대한 정당한 평가와 예우를 약속했다.

제주해녀 항일운동은 법정사 항일운동, 조천만세운동과 함께 제주지역 3대 항일운동으로 기록된다. 1931년 6월부터 1932년 1월까지 고차동·김계석·김옥련·부덕량·부춘화 등 해녀 대표 5명의 주도로 일어났다. 일제의 식민지 수탈로 어장은 황폐화되는 등 횡포가 극에 달하자 이에 항거한 생존권 투쟁이었다. 무려 283차례에 걸쳐 연인원 1만7000여명의 해녀가 참여한 우리나라 최대 어민운동이자 여성 중심의 운동으로서 그 의미가 크다.

이같은 역사적 가치에도 불구하고 제주해녀 항일운동에 대한 평가작업은 아직 미흡하기만 하다. 항일운동을 이끈 5명 중 김옥련·부덕량·부춘화 해녀 3명만 국가유공자로 선정됐다. 그나마 1995년 해녀항일운동기념사업회가 결성되면서 재평가작업이 이뤄진 덕분이다. 제주도 차원의 관심도 부족하다. 항일운동과 관련해 제주도가 갖고있는 공식 자료는 1995년 발간된 '제주해녀항일투쟁실록'이 유일하다. 제주해녀 항일운동공원 조성 등 성역화사업도 2014년 기본계획 용역 이후 답보 상태다.

정부는 내년 3·1운동 100주년을 앞두고 여성독립운동가 발굴과 대대적인 재평가작업을 한다. 제주해녀 항일운동의 주역이지만 여전히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고차동·김계석 해녀의 국가유공자 서훈이 이번에는 반드시 이뤄져야 할 것이다. 제주도 역시 매년 열리는 기념식이나 흉상 제작 등 단편적인 사업에만 그칠 것이 아니다. 제주해녀 항일운동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지원 등 재조명사업과 함께 지지부진한 성역화사업에 적극 나서야 한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