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4·3 제 70주년 정명학술대회 개최
27일 서울시의회 의원회관서 

제주 4·3 70주년을 맞아 추진되고 있는 전국화와 함께 제주 4·3 정명화의 필요성이 제기, 이를 논의하기 위한 자리가 마련됐다.

27일 서울시의회 의원회관에서는 제주4·3 제70주년 범국민위원회와 제주4·3 70주년 기념사업위원회가 공동 주최한 '제주4·3 제70주년 정명 학술대회'가 개최됐다.

이 자리에서 양정심 제주4·3평화재단 연구실장은 '제주4·3, 이름 찾기에 대한 소고'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정부 차원의 진상규명과 명예회복 과정이 탄탄해 질수록 항쟁의 기억은 희미해져 가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제주 4·3에는 학살과, 항쟁의 성격이 공존한다"며 제주 4·3의 중요한 성격 중 하나를 5·10 단독 선거를 저지하고자 한 '정치적 저항'임을 강조했다.

양 실장은 "4·3은 단독선거와 단독정부 수립을 저지하고 통일정부를 지향한 투쟁"이라며 제주 4·3이 한국 현대사에서 갖는 상징성에 대해 "비극적인 역사를 통해 화해와 상생의 가치를 되새기고 평화와 인권의 가치를 키우는 노력이 미래세대와 만나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김학재 서울대 통일평화 연구원 교수는 부당한 공권력의 발포와 탄압에 대한 저항이라는 점을 내세워 "선거라는 기술적 절차를 민주주의의 전부로 여기는 인식에 저항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주철희 역사 학자는 '제주4·3항쟁은 무엇인가'라는 주제 발표에서 "역사의 명칭은 사건의 성격을 담고 있다. 사건의 역사적 성격을 규정하지 못할 경우 정명은 숙제로 남을 것"을 강조했다.

그러면서 "미군정의 정치·사회·경제적 실패와 관의 극도의 압정, 경찰 폭압 등 민중의 삶 파괴에 맞섰던 투쟁을 복합적으로 봐야 한다"며 "이 과정에 민간인이 학살됐고, 투쟁관점으로는 '제주4·3민중항쟁'이라는 역사적 성격을 부여해야 한다"고 힘을 실었다.서울=김하나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