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를 방문한 관광객(자료사진).

민·관 협력 관광전략진흥회의 본격 가동…선언적 정책·대응 부족 반성
제3차 제주관광진흥 5개년 중장기 계획 반영 등 경쟁력 고도화 주력

제주특별자치도가 지역 기간산업인 관광 회복을 위한 특단의 처방을 내렸다. 그동안 성장에 편승한 관광 정책을 반성하고 내실화를 통한 체질 개선으로 선회했다.

제주도는 8일 대내·외 환경 변화와 경기 침체 영향 등 복합적 원인의 제주 관광시장 위기론에 대응할 제주관광전략진흥회의를 본격 가동했다. 양적 관리 내실화와 질적 성장 전환 등 선언적 정책을 구체화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했다.

꾸준히 성장하던 제주 관광은 지난 2016년 입도관광객 1585만1401명으로 정점을 찍은 후 하락세로 돌아선 뒤 좀처럼 반등하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전년 대비 6.9% 감소한 1475만 4384명이 관광 목적으로 제주를 찾으면서 '관광객 1500만명 시대'를 1년 만에 마감했다. 올 들어서도 9월까지 1080만5752명이 제주 관광을 나섰지만 지난해 같은 기간 1119만2025명에 비해 3.5% 감소한 수준이다.

중국의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사드) 보복 불똥으로 지난해 반토막(123만3525명, -65.7%)났던 외국인 관광객이 회복 흐름을 보이고 있는데 반해 여름 극성수기부터 본격화한 내국인 관광객 이탈이 가속화하는 등 전망을 어둡게 하고 있다.

내국인 관광객은 4월까지 전년 동월에 비해 완만한 증가세를 보였지만 5월 마이너스로 돌아선 이후 5개월 연속 고전 상황이다. 특히 7월 전년 동월 대비 5.7%, 8월 7.5%, 9월 7.4% 감소하는 등 성수기 특수가 실종됐다. 폭염 등 외부요인이 있다고는 하지만 관광지 혼잡도와 관광물가 부담 등이 제주 선택을 망설이게 했다는 분석이 우세하다.

이 마저도 기업형 관광사업체나 일부 인기 아이템으로 관광수익이 쏠리면서 파급효과에 대한 도민 체감도가 급격히 떨어졌다. 여기에 예멘 난민 문제와 잇단 강력사건 등 심리적 불안요인, 해외여행 선호 증가, 남북관계 개선에 따른 신규 시장 부상 등 악재가 산재해 있는 상황이다.

제주관광전략회의는 그동안 제주관광정책의 '빈틈'을 확인하는 것에서 출발했다. 개별여행객 확대 추세에 대한 대응 미흡과 주민주도 지역관광 활성화 전략 빈약, 고부가가치 관광 상품 부족 등 '양적 관리'와 '질적 성장' 모두 충족하지 못했음을 인정했다. 실국, 유관기관별 중복·중첩 또는 연계 부족으로 전체 제주 관광의 시너지 효과를 끌어내지 못한다는 지적을 수용해 협업 중개 역할로 기능을 특화했다. 이들 작업은 오는 23일 공청회를 앞둔 제3차 제주관광진흥 5개년 중장기(2019~2023) 계획에도 적극 반영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