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당초 이달 중 확정·고시 계획…최종 보고서 제출 등 미뤄
적정 수요 도출 부담·환경 변동성 등 변수 "다각적 논의 중"

제주 관광 적정 수요와 질적 성장 방향 등을 가늠하는 기준이 될 제3차 관광진흥계획(2019~2023년)이 차일피일 늦어지는 등 관광 현장 위기감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관광진흥계획은 5년마다 수립해야 하는 법정 계획으로 제주 관광 정책의 기본 틀이 된다. 제주도는 당초 지난해 10월 쯤 기본 윤곽을 잡고 이달 중 확정·고시한다는 로드맵을 세웠었다.

관광진흥협의회를 통해 기본 안을 짜고 연구용역진의 최종보고회까지 마쳤지만 아직까지 결과물은 나오지 않은 상태다. 도는 용역진에 이달말까지 최종 보고서 제출 기한을 연장하는 한편 필요한 경우 추가 연장도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이번 3차 계획에는 국내외적 관광환경 분석 결과 외에 관광트렌드 분석 결과와 제주 관광정책의 평가, 중점 과제와 대안, 연도별 투자계획 등을 담게 된다.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오버 투어리즘'의 기준이 될 적정 수요를 도출하는 방안도 검토하는 등 결과에 관심이 모아졌었다.

3차 계획 확정이 늦어지는 배경으로는 사드 보복 이후 회복세가 더딘 외국인 관광시장과 내국인 시장 변동성, 관광 요구 다양화 등 변수가 늘어난 것이 꼽힌다. 제2공항, 신항만 등 연관 인프라 구축 계획 반영 여부도 간과하기 어렵다.

특히 '관광 적정 수요'에 대한 해석이 엇갈리면서 최종안에 대한 책임을 주저하고 있다는 분석이 우세하다. 실제 중간·최종 보고회는 물론이고 도의회 보고 등 일련의 과정에서 수정·보완 요구가 이어지는 등 결론 도출에 한계가 우려됐다.

하지만 1962년 제주방문 관광객 집계를 시작한 이후 2년 연속 관광객이 줄어든 것은 1998년 외환위기(IMF) 때와 2017-2018년 뿐이라는 점, 관광업 경영난 원인으로 공급 과잉 문제가 심화되고, 혼잡도와 고물가로 인한 저항, 생활 불편에 따른 마찰이 커지는 상황을 극복할 기준이 설정되지 않은데 따른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다.

도 관계자는 "다소 시일이 걸린다고 하더라도 현 시점에서 진단해야 할 것을 분명히 짚고 넘어갈 계획"이라며 "제주 기간산업으로 관광의 위치와 향후 경쟁력을 확보하는 방안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