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진상규명 정명으로 완전한 해결 한걸음 나가야

정부 2003년 '제주4·3사건' 표기 했지만 역사적 성격 규정못해 이름없어 
정의실현 이념논란 종식 위해 정명 필요 진실규명 사회공감대 형성해야

제주4·3의 성격과 진실을 명확하게 규명하지 못하면서 71년이 되도록 정확한 이름이 없이 오랜 숙제로 남게 됐다. 앞으로 제주4·3의 이름을 찾기 위한 사회적 합의와 진실규명 활동에 나서야 한다. 

제주4·3의 역사적 성격을 놓고 명확하게 규정하지 못하고 있다. 정부가 2003년 진상조사보고서를 작성하면서 '제주4·3사건'으로 표기했지만 도민사회는 아직도 제주4·3의 명확한 진상규명이 이뤄지지 않았기에 '제주4·3' 뒤에 어떠한 명칭을 넣지 않고 있다. 

이제 제주4·3이 70년을 넘어 한해가 지나는 상황에서 이제는 제주4·3의 이름 찾기, 즉 정명(正名)에 대해 단계적으로 논의를 시작할 시점이다. 

'화해와 상생'의 길을 걷는 상황에서 제주4·3의 정명과정은 또 다른 도민사회의 갈등을 유발할 수 있고, 이 때문에 지금까지 정명이 완성되지 못한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제주4·3의 완전한 해결을 위해 정명은 반드시 이뤄져야 하며, 그 시작은 사회적 공감대가 최우선이라는 목소리가 높다. 사회적 공감대 없이 섣불리 시작했다가는 과거처럼 또 다시 이데올로기 싸움이 불거질 수 있기 때문이다. 

제주4·3을 애매하게 만드는 요소로 초기에 공산주의자인 남로당이 주도했고, 무장대와 토벌대 모두 불법행위가 있었으며, 공권력의 과도한 탄압이 있었다는 점이다.

이 때문에 제주4·3의 정명과 성격을 규정하면서 사건이냐, 학살이냐, 반란이냐, 항쟁이냐 등을 놓고 논쟁과 마찰이 이어져 왔다.

제주4·3의 정명을 위해서는 사회적 공감대와 함께 명확한 진실규명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다.

새로운 법과 제도의 틀을 갖춘 후 보다 폭넓고 명확하게 진상규명이 이뤄진 후에 제주4·3의 역사적 성격을 압축시켜야만 제주4·3의 정명과정에서 논쟁과 마찰을 줄일 수 있고, 결국 도민공감대가 형성될 수 있다.
  김용현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