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무 마늘 당근 등 조수입 2014년 5490억서 지난해 4847억 하락
수급조절 난항 수입농산물 증가 등 상황악화 경쟁력 강화 시급

1차 산업의 큰 축인 채소농업이 매해 조수입 감소 등으로 크게 위축되고 있다. 과잉생산시 시장격리 등 임시처방보다는 산지유통체계 구축, 대체작물 육성 등 근본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제주도에 따르면 도내 채소작물 조수입은 2014년 5490억원에서 2015년 5687억원, 2016년 6767억원으로 상승했지만 2017년 5413억원으로 떨어졌고, 지난해에는 4847억원으로 하락해 5000억원 미만으로 내려갔다.

작물별로는 무가 2014년 1359억원에서 2015년 1674억원, 2016년 1863억원까지 올랐다가 2017년 1294억원으로 급락한 후 2018년 1214억원으로 내림세가 이어졌다.

양배추는 2014년 538억원에서 2015년 768억원, 2016년 1152억원으로 1000억원을 돌파했지만 2017년 636억원으로 떨어졌고, 2018년에는 370억원으로 하락했다.

당근은 2014년 544억원에서 2015년 561억원, 2016년 721억원으로 상승했다가 2017년 477억원으로 하락했고 그나마 2018년 484억원으로 소폭 회복했다.

마늘은 2014년 1024억원으로 조수익 1000억원 시대를 열었지만 2015년 918억원으로 내려간 후 2016년 990억원, 2017년 980억원, 2018년 946억원으로 최근 3년간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다.

올해 제주도는 가을철 잇따른 태풍과 폭우 등으로 채소류 작황이 부진하고, 피해농가들이 월동무 등 특정작물을 다시 재배하는 등 지난해보다 조수익이 떨어질 것으로 우려된다.

여기에 FTA 등으로 농산물 수입량이 늘고 있고, 정부가 개발도상국 지위 포기로 농산물 수입관세가 떨어질 수 있는 등 제주 채소농업 상황이 더욱 악화되고 있다.

제주도 역시 그동안 채소농업 관련 정책은 과잉생산 등으로 가격이 급락할때 수급조절에 치우치고 있다. 

이에 제주산 채소작물의 수집과 중계, 도매 등 유통기능이 산지에서 이뤄지도록 생산자조직화를 하고, 출하창구를 단일화해야 하는 등 산지유통체계를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수익이 떨어지는 채소작물을 대신할 신규작물을 개발하는 등 가격·수급 조정에서 탈피해 경쟁력을 강화하는 채소농업정책이 필요하다. 김용현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