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한국고용정보원 지방소멸 2019 보고서 제주 위험지수 0.81
읍·면·동 16곳 위험군 확대…순유입 감소·출산률 저하 위기

제주의 '지방소멸'제어 장치가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고 있다. 부동산 시장 위축으로 인한 경기 위축과 순유입인구 둔화세, 저출산 흐름이 맞물리며 소멸 위험 위기감을 키웠다.

14일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의 제20차 저출산고령화 포럼에서 공개된 '한국 지방소멸 2019'보고서(한국고용정보원)에 따르면 제주 43개 읍·면·동 중 16곳(37.2%)을 소멸 위험 지역으로 분류됐다. 지난해 보고서 13곳(30.2%)에서 3곳이 늘었다.

소멸위험지수는 한 지역의 가임여성인구(20~39세) 수를 같은 지역의 65세 이상 고령인구 수로 나눈 값으로 0.5~1.0 미만은 '주의', 0.5 미만은 '소멸위험'으로 구분한다. 소멸위험지역 중에서도 0.2~0.5 미만은 '소멸위험 진입', 0.2 미만은 '소멸고위험지역'으로 본다.

올 10월을 기준으로 한 제주의 소멸 위험 지수는 0.81로 지난해 0.86에 비해 0.05 떨어진 것으로 측정됐다. 전국 평균은 0.84다. 2013년 0.94로 주의 경고등이 켜진 이후 계속해서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서귀포시 지역의 경우 17개 읍·면·동 중 절반이 넘는 10곳이 소멸 위험 지역으로 분류됐다. 지난 보고서 때 보다 2곳이 늘었다. 보통(1.0~1.5미만)으로 숨 돌릴만한 지역은 대천동(1.066) 한 곳 뿐이었다.

제주시 지역도 26개 읍·면·동 중 6곳이 소멸 위험 지역 판정을 받는 등 제주 전반에 걸쳐 늙고 위축되는 양상을 보였다.

지역별로 추자면의 소멸위험지수는 0.164로 지난해에 이어 소멸고위험지역으로 분류됐다. 지난해 보고서 0.189보다 위험도가 높아졌다.

읍면 지역 중에는 제주시 한경면(0.302)과 구좌읍(0.375), 우도면(0.406), 서귀포시 성산읍(0.394)과 남원읍(0.395)이 소멸위기지역에 포함됐다. 구좌읍과 성산읍, 남원읍은 지난 보고서 때 '0.4선'이 무너졌다.

보통으로 분류됐던 한림읍(0.475)과 대정읍(0.488), 표선면(0.451)이 이번 보고서에서 새로 소멸 위기 지역에 진입했다.

서귀포시 12개 동 중 송산동(0.383) 영천동(0.413) 중앙동(0.403) 천지동(0.447) 정방동(0.430) 효돈동(0.475)이 여전한 소멸 위기 상황으로 관측됐다. 지난 조사 때만하더라도 보통(1.017) 수준이던 서홍동이 0.908로 주의 지역으로 밀렸다.

제주시 동지역 중에서는 일도1동이 지난해 0.454던 지수가 0.347로 떨어지는 등 소멸 위험이 심화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같은 사정은 이미 예견됐었다.

지난 2010년 유입 인구가 유출 인구를 역전하기 시작해 2014년(1명1112명)이후 한 해 1만명 이상(2015년 1만4254명·2016년 1만4632명·2017년 1만4005명) 순유입됐지만 지난해 8853명으로 줄어들었다. 올들어서도 9월말까지 2427명으로 분위기가 꺾였다.

지난해 제주 지역 출산율은 1.22명으로 1993년 이후 최저를 기록했다. 올해 분위기도 나아지지는 않은 상황이다.

여기에 도심 동지역과 읍·면 지역간 양극화가 여전한데다 노동시장 한계 등으로 20·30대 순유출이 시작되는 등 위협 요소도 반영됐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