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특별자치도 저탄소정책과 김태훈

최근 전 세계적으로 탄소 저감을 통해 온실가스 발생을 줄이기 위한 지구촌 공동의 노력이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핵심 수단으로 추진되고 있는 것이 화석연류를 대체할 신·재생에너지 개발과 이용이다.

신·재생에너지의 확대는 시대적으로나 환경적으로 반드시 가야할 길이며, 제주는 2012년 "Carbon Free Island Jeju by 2030" 계획을 발표한 이후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산을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여 왔다.

그 결과, 2019년말 기준 신·재생에너지 보급률은 14.34%('18년 전국 8.88%, 제주12.92%, '19년 전국통계 미발표)로 전국 최상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향후 2030년까지 도내 전력수요를 신·재생에너지로 100% 대체한다는 원대한 목표를 가지고 있다.

신·재생에너지에는 풍력, 태양광, 바이오중유 등 다양한 분야가 있는데 그중 제주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풍력과 태양광발전시설이다.

이렇듯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풍력과 태양광발전시설에는 두가지 약점이 있는데, 첫째 날씨의 영향으로 인한 출력의 간헐성으로 안정적인 에너지공급에 제한적인 문제가 있고, 둘째 전력계통 수용 한계로 인한 출력제한이 발생한다는 사실이다.

세계 선진국에서는 이러한 문제해결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으며 미국 캘리포니아의 경우 전체전력의 14.1%('18년기준)를 태양광으로 생산하며 간헐성 문제해결을 위해 낮에 저장해둔 소규모 분산자원을 네트워크로 연결한 가상발전소(VPP)를 적극 활용하고 있으며, 독일 소넨의 경우도 4만가구가 넘는 가입자를 기반으로 에너지 공유서비스를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다양한 연구개발과 실증이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VPP(가상발전소), ESS(에너지저장장치), P2G(재생에너지 변동성 대응기술) 등 지역여건에 맞는 다양한 기술을 활용한 최적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부단한 노력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러한 과정에 도민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적극적인 지지는 큰 힘이 될 것이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