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청 전경

2040년 목표 '제주특별자치도 광역 하수도정비 기본계획(변경)' 용역
공공하수도 연결 의무화, 포화 심각한 8개 하수처리장 원단위 재설정

인구 및 기후 그리고 경제규모 변화 등 여건변화에 따라 제주특별자치도가 하수처리구역 확대와 원단위 조정 등 새로운 하수처리 계획을 마련한다.

제주도 상하수도본부는 23억5000만원을 투입해 오는 6월부터 내년 9월까지 2040년을 목표로 한 '제주도 광역하수정비 기본계획'을 수립한다고 밝혔다.

도는 제3차 제주국제자유도시종합계획, 2040 제주특별자치도 도시기본계획 등 현재 용역이 진행중인 상위 법정계획을 반영해 2040년까지 제주의 환경 수용력을 고려한 하수 인프라를 확충할 계획이다.

도 전역 공공하수도 연결 의무화에 따른 하수처리구역 확대, 제주지역 각종 개발계획 등 청정 제주의 최근 여건변화를 반영한다.

도는 각종 개발계획과 연계한 도내 8개 하수처리장의 시설용량은 하수사용 원단위 및 계획인구를 조정한다. 또한 관광오수량 반영을 통해 현재 기본계획에 반영된 하수처리장의 시설용량을 재검토한다.

도내 8곳의 공공하수처리장 가운데 제주(도두)공공하수처리장(시설용량 1일 13만t)과 대정하수처리장(1일 1만3000t), 남원하수처리장(1일 8000t) 등 3곳은 시설용량보다 하수유입량이 많아 하수처리율이 이미 100%를 초과하는 등 포화문제가 심각하다.

또 2017년 준공된 성산하수처리장(1일 1만t)을 제외한 나머지 동부하수처리장(1일 1만2000t), 서부하수처리장(1일 2만4000t), 보목하수처리장(1일 2만t), 색달하수처리장(1일 2만3000t) 역시 하수처리율이 70~96%에 이르는 상황이다.

도는 이번 용역을 통해 제주 지하수 보존을 위한 중산간지역 하수처리구역 확대, 읍·면지역 하수관로 시설 확충, 펌프장에서 처리장까지 연결된 차집관로의 2개 라인 운영 및 불량구간 정비계획도 반영한다.

하수처리장 배출수로 인한 연안환경 악화 우려로 지역주민들이 방류관 추가연장을 요구하고 있음에 따라 7개 처리장에 대해 해역조류의 영향(수치모형실험 등)을 조사해 방류관 연장여부를 기본계획에 반영하고 단계적으로 국비확충 등을 통해 하수 방류관을 연장한다.

도는 하수처리장으로 유입되는 하수에 포함된 불명수 파악 및 분류식 하수관거지역에 오·접합된 시설물에 대한 정비계획을 '하수처리장 유입 불명수 차단TF팀' 운영과 병행해 추진한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