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지역경제는 1·3차 산업에 편중된 산업구조로 고용 불안이 매우 크다. 인구 규모가 60만여명으로 내수시장이 취약한 탓에 농수축산업과 관광 등 서비스산업은 외부 영향에 의해 성장과 하락을 반복하고 있다. 건설업 역시 외부 투자자본 유입이 활성화되면 고용 증가 등 노동 생산성이 높지만 반대의 경우는 일자리가 사라지는 등 고용시장의 침체가 깊어지면서 근로자들의 삶도 팍팍해지고 있다. 

외부 충격에 취약한 고용 안전성은 한국은행 제주본부의 보고서에서도 확인됐다. 제주본부가 엊그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관광객 및 외부자본 유입이 활황세를 보인 2011~2017년 노동생산성 증가율은 연평균 2.2%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반면 2017년 '사드' 배치에 따른 관광객 연평균 5% 감소와 함께 제주도정이 중국인의 관광개발산업 투자자본을 배척한 결과 노동생산성은 71.9로 17개 시·도 중 13위의 하위권에 머물렀다.

외부 영향에 의한 취업자 감소는 2018년 2300명, 2019년 200명으로 계속 줄어들면서 고용 안전성마저 흔들리는 실정이다. 올해 역시 연초부터 코로나19에 따른 관광객 감소로 고용불안이 더 심각하자 한은 제주본부는 자영업자나 임시·일용직 근로자 등 고용 취약계층까지 사회보장 범위를 확대해야 한다고 제주도정의 정책 마련을 요구했다. 제주도정이 고용 취약계층에 대한 사회보장범위를 확대할 의지와 능력이 없다면 중국 관광객과 투자자본을 부정적으로 보는 색안경부터 벗어야 한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