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농업인단체협 14일 칼호텔서 미래농업 모색 토론회
안경아 책임연구원 제주형 먹거리 순환체계 과제 제시

제주 농가 고령화와 한정적인 판매처 등 구조적인 문제로 제주 농업 생산이 위축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제주특별자치도 농업인단체협의회(회장 강수길)는 14일 제주칼호텔에서 '제주 미래농업 발전 방향 모색을 위한 농업인 숙의 토론회'를 열었다. 

이날 '지속가능한 제주를 위한 먹거리 순환체계 구축 방향'을 주제로 발표에 나선 안경아 제주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제주 먹거리 체계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진행한 생산·유통·가공·소비자·폐기 현황 조사결과를 공개했다. 

안 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도내 농가 3만1111곳 가운데 농가경영주가 60세 이상인 고령농가는 62.6%(1만9468곳)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이는 10년 전인 2000년 고령농 비중 39.5%(3만9114곳 중 1만5459곳)보다 2배 가까이 늘어난 수치다. 

안 연구원은 산지수집상 의존율이 높은 점도 원인으로 지적했다. 

지난해 기준 산지수집상에 의존하는 도내 농가 비중은 42.1%로 전국 7.9%보다 5배 가까이 높았다. 

반면 직접 판매에 나서는 농가는 11.7%로 전국 25.7%의 2분의1 수준에 그쳤다. 

과잉생산으로 산지에서 폐기되는 월동무 등 채소류는 상대적으로 곡류 등 다른 작물에 비해 저장 기간이 짧아 유통단계에서도 다량 폐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7년 886만t이 생산된 채소류 가운데 감모량은 235만t으로, 전체 생산량의 22.6%를 차지했다. 

감모량은 총 공급량 중 생산에서 조리과정에 이르기까지 운반·가공·유통과정에서 손실된 양을 의미한다. 

안 연구원은 이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먹거리 순환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과제로 △기획생산체계 구축 △농민가공 원스톱지원 △제주푸드 직매장 설치·운영 먹거리 공동체 지원 △공공급식 현물지원 △먹거리위원회 및 민간전문가 제도 신설 △제주푸드복합문화센터 조성 및 관리 등을 제시했다. 이은지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