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특집 / 설날의 다른 이름 '떡국'

새해 첫날 올려 
떡국 한자로 '첨세병'
먹는 풍습 각기 달라

'잔치' 상징성 가져
가래떡 평안 기원
'무병장수' 의미 담아

"저…우동…1인분입니다만…괜찮을까요?"
'나홀로'가 익숙해 졌다고 하지만 명절만은 예외다. 여전히 바쁘고 정신없는 일상이지만 이 때 만큼은 숨을 고르고 주변을 돌아보게 된다. 섣달 그믐날 우동 한 그릇 밖에 주문할 수 없었던 세모자에게 수북한 정을 나눠주고 새해 인사를 주고받는 따듯한 이야기가 새삼스러운 때다. 설, 그리고 명절, 가족들과 나누는 덕담, 그리고 넉넉함을 조물조물 연결하면 자연스럽게 떡국 한 그릇이 나온다. 

#언제부터 먹었나

떡국은 설날 상에 빠지지 않고 오르는 고유 음식이다. 빨리 어른이 되고 싶다고 두 그릇씩 먹던 기억도 생생하다.

옛 문헌자료가 많지 않아 분명하지는 않지만 조선후기 「동국세시기」와 「열양세시기」에 '떡국은 책에 새해 차례와 아침식사 때 없으면 안 될 음식이며, 손님 접대용으로 꼭 내놓았다'는 기록이 있다.

조선 중기 이식의 「택당집」에서 '새해 첫날의 제사상을 차릴 때 병탕과 만두탕을 한 그릇씩 올린다'는 내용을 찾을 수 있다. 이전 기록은 아쉽지만 아직까지 찾지 못했다.

구한말 떡국을 시장에서 사먹었다는 신문기사를 찾을 수 있는 것을 보면 귀천없는 대중적인 음식이었다는 사실만은 분명하다.

'떡국 한 그릇에 나이 한 살'의 근거는 떡국의 옛 이름에서 유추할 수 있다. 떡국은 한자로 '첨세병(添歲餠)'이라 부르는데, 이는 먹은 떡국 그릇 수에 따라 나이가 더해지는 음식이라는 의미다.

떡국 먹는 풍속은 지방에 따라 다르다. 그도 그럴 것이 쌀이 풍족한 평야 지역에서는 떡만 넣고 먹었고 상대적으로 척박한 북쪽이나 산간 지역에서는 만두가 떡을 대신하는 경향이 있다.

# 왜 먹었나

귀한 쌀로 떡을 만들어 먹는 것은 환갑잔치나 명절과 같은 큰 의미가 있는 날뿐이었다. 떡국은 이런 떡이 갖고 있는 '잔치'의 상징성이 '최고의 즐거움'으로 확대된 것이다. 평소 먹기 힘든 고기를 떡과 함께 먹는 음식이니 이만한 명절음식은 없는 셈이다.

가래떡 역시 의미 있다. 가래떡은 긴 모양 때문에 오래 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부에서는 집안에 재물이 늘어나는 것으로 해석하기도 했다. 긴 가래떡을 동그란 엽전 모양으로 써는 것으로 한해 집안이 평안하고 풍족해지길 기원했다는 해석이 우세하다.

떡국은 기본적으로 '갱생부활 새로운 시작'을 의미한다고 전해진다. 옛 사람들은 설날이 천지 만물이 새로 시작되는 날인만큼 엄숙하고 청결해야 한다고 여겼다. 몸과 마음을 깨끗하게 하고자 맑은 물에 흰 떡을 넣어 끓인 떡국만한 것이 없다. 가래떡역시 근엄함과 청결함을 뜻하는 흰색으로 좋지 않았던 일들을 깨끗이 씻어버리고, 좋은 일들만 있기를 바라는 의미를 보탰다.

떡국에 '무병장수'의 의미를 담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