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보전을 우선한 민선 6·7기 제주도정은 전임 도정의 해외자본 관광개발사업을 난개발로 치부하면서 중단했다. 그 대신 지난해부터 IT·BT·ICT 산업과 신재생에너지, 스마트시티, 화장품 등 신성장 동력산업을 중점 유치산업으로 선정해 추진하고 있다. 투자유치 국가도 중국 중심에서 미국·유럽·일본 등지로 다변화했다. 하지만 사업부지 확보난 및 이전비용 상승, 다른 지자체에 밀리는 인센티브 제공으로 실제 유치 실현 건수는 미미하다. 

침체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제주도정이 투자유치에 더 관심을 가져야 함에도 실상을 거꾸로 가면서 우려스럽다. 최근 발표한 조직개편안을 통해 관광국의 투자유치과를 일자리경제국의 통상물류과와 통합한 투자통상과로 축소 조정했다. 국내기업 등 미래산업 유치를 통상분야와 연계시킨다는 구상이지만 투자유치와 관련한 인력·예산이 종전에 비해 대폭 감소해 더 위축될 것으로 보인다.  

제주지역경제는 외부 의존도가 매우 높다. 대기업이 없을뿐더러 토종자본 역시 사실상 전무, 국내·외 민간자본 유치에 사활을 걸고 있다. 영세한 기업 여건으로 지방세수 기반이 열악하고, 동시에 국내·외 민간자본을 대체할 만큼의 획기적인 국비 확보도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지난달 국내기업 유치 부진을 이유로 인력을 줄인데 이어 과(課) 단위 전담조직조차 없애버리는 어리석음을 범하고 있다. 외부 민간자본 유치로 일자리 창출 등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서는 투자유치과를 현행대로 존치시켜야 한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