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평화정신 세계로 미래로] 1. 3.1절 기념 제주대회

자료사진.

경찰 발포 도민 14명 사상…3.10 총파업 귀결
미군정·정부 강압적 진압 등 4·3 도화선 작용

올해로 제주4.3의 광풍이 제주 섬을 휩쓴 지 70년이 흘렀다. 그동안 제주4.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에 관한 법률(4.3특별법) 제정과 4.3진상조사보고서 발간, 대통령 사과, 국가추념일 지정, 전국 첫 지방공휴일 지정 등 많은 성과를 거뒀지만 누구도 4.3이 상처가 완전히 아물었다고 말하지 못한다. 희생자 명예훼복과 배.보상 문제는 아직도 진행 중이고 4.3정신과 정명 찾기 목소리도 여전하다. 제주4.3의 완전한 해결과 새로운 세대로의 도약을 위해 제주4.3의 시작부터 현재까지 6회에 걸쳐 점검한다.

제주4.3의 도화선이 된 1947년 3월 1일 북초등학교에서 열렸던 '3.1절 기념 제주대회'가 재조명받고 있다.

제주3.1절 시위의 비폭력 평화정신이 화해와 상생으로 대표되는 제주4.3 정신으로 계승됐기 때문이다.

3.1절 기념 제주대회 당시 제주시 관덕정 인근 북초등학교에 운집한 인원만 2만에서 2만5000명으로 추산되고 있다. 도민들을 한자리로 이끈 것은 '삼상회의 결정 즉시 실천', '미소공동위원회의 재개', '3.1 정신으로 통일독립 진취'라는 슬로건이었다. '제대로 된 나라'를 만들자는 민초들의 의지가 발동한 것이다.

기념 대회 도중 한 기마 경관이 어린애를 치고 그냥 가자 도민들의 항의가 이어진다. 이를 폭동이 일어난 것으로 착각한 경찰이 발포해 14명의 무고한 민간인 사상자가 발생한다. 이 사건은 우리나라 근현대사의 아픔으로 제주인의 가슴에 응어리로 남은 제주4.3의 발단이 된다.

이 사건 이후 3월 10일 제주도청을 시작으로 이에 항의하는 민관 총파업에 돌입해 나흘간 제주도 전체 직장의 95%에 달하는 166개 기관 및 단체가 파업에 동참하게 된다. 도민들의 자발적 비폭력 항의였다.

하지만 미군정은 파업의 원인을 경찰의 발포보다 빨갱이의 선동이라는 해석에 치중해 결과적으로 우리나라 정부까지 나서 강압적 진압에 나섰다. 당시 경찰이 대량 검속으로 1년 동안 구금한 인원만 2500명에 달했다.

편파적인 도민 탄압이 지속되자 미군정에 등 돌린 민심에 힘입어 남로당 제주도당은 이듬해인 1948년 4월 3일 무장봉기를 일으켰다. 이처럼 미군정의 불의에 항거한 도민들을 무자비하게 탄압하는 과정에서 일어난 것이 바로 '제주4.3이다.

이들 일련의 과정을 아울러야만 4.3 완전 해결과 정명 찾기가 가능하다는 주장에 힘이 실리는 것도 여기에 있다.

이와 관련, 고창훈 세계 환경과 섬 연구소장은 "미군정의 G2보고서에도 나와 있듯이 제주3.1절 시위는 1919년 3.1운동의 비폭력적 투쟁 정신을 '지역적'으로 계승하고 '민족자유권'을 요청한 의미를 갖는다"며 "제주3.1절 시위 재판기록을 중심으로 4.3의 기록 등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 후세에 남기는 작업을 진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